대학원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학원 면접질문 대비(알고리즘 / 운영체제) 가장 효율적인 정렬과 그것의 시간 복잡도퀵소트(quick sort)로 최소 및 평균으로는 O($n\log{n}$), 최악의 경우는 O($n^2$)의 시간복잡도를 가짐.퀵소트는 divide and conquer개념을 사용하는 알고리즘으로 기준점인 피벗(pivot)을 정하고, 피벗보다 작은값은 왼쪽으로 큰값은 오른쪽으로 정렬해 파티셔닝을 진행함. 탐욕알고리즘과 동적계획법탐욕알고리즘(Greedy Algorithm)최적의 값을 구해야 하는 상황에서 각 단계에서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값을 선택해나가는 방식으로 최종적인 최적의 값에 도달하는 알고리즘임. (Top-down)이전의 선택이 이후에 영향을 주지 않고, 부분문제의 최적해가 전체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존재함.전체 문제에서 최적의 값을 보장하지.. 더보기 이전 1 다음